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입면의장 - 집의 좌향, 구성, 창호계획 1. 배치와 입면 한국 전통건축의 미는 입면에 있다 그러기에 전날에는 평면보다 입면구성에 더 힘을 기울었고 그 미관은 가풍과 전통을 보이는 것이라 하였다. 대개 한국 가옥에서는 남향한 몸채를 중심하여 좌우나 남쪽에 균형지게 여러 부속사를 배치하므로 몸채는 뒤쪽 높은 자리에 앉히는 것이 원칙이고 사랑채, 행랑채는 남쪽 또는 동서쪽 낮은 지단에 안채보다 낮게 꾸민다. 간살잡기를 평면적 구조로 해석하면 입면은 입체적 구조로 해석되므로 이 두 계획은 일체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입면은 구조의 전모를 표현하는 것이므로 평면과 입면 계획은 건축구조를 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 하겠다. 집의 좌향을 우리는 대개 남향하는 집이 좋다고 한다. 이것은 집의 향방은 일조(日照), 풍향(風向), 지세(地勢) 등에 따라 제약되며 .. 2022. 5. 20.
평면계획 - 일반건축과 다른 계획 1. 민가의 기본평면 방 두 간과 부엌 한 간을 동서로 늘어놓으면 남향하는 삼간집이 되고 출입문은 동남서 어느 방향이라도 좋으나 대체로 부엌은 그 반대편에 두어 출입문에서 조금 떨어져 있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동문일 때는 서편에, 서문일 때는 동편에 있고 남문에서는 동서 어느 쪽이라도 좋으나 부엌을 동쪽에 두어 이른 아침의 작업에 유리하게 한다. 이에 더 편하게 하려면 남쪽에 툇간을 달아 들이치는 빗물을 막고 또 실의 연장으로 마루를 놓기도 한다. 이 툇간은 8자 한 간의 반 정도의 간 사이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툇간에 마루를 놓지 않고 흙바닥으로 둔 것을 봉당(封堂)이라고 한다. 경기 지방에서는 툇마루를 두지 않고 방과 방 사이에 두고 부엌을 안방 앞에 두면 툇마루집과 같은 간살이 된다. 삼.. 2022. 5. 19.
건축계획 - 한옥의 짓기위한 우선순위 1. 대지계획 대지(垈地)는 소유하고 있는 토지 중에서 선정하여 터를 잡고 환경에 어울리고 짜임새 있는 규모로 계획한다. 지방 관아, 공공건물의 계획에 있어서는 전례(前例)를 찾아 경영 시행자나 그 방면에 식견과 해박한 인사 또는 당시에 이름난 전문 편수 등을 초청하여 도모하는 것이 상례였다. 사찰 등에서는 사원 건축의 선각(先覺) 자나 권위 있는 경험 고승을 비롯하여 불사 건립에 조예가 깊은 인사를 망라하여 계획에 대한 지식과 견해들을 종합하여 계획하였다. 이때에 지사(地師)의 고견도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일이기도 하였다. 민가에서는 의중(意中)에 맞는 현존 주택을 표본 하여 교우(交友) 또는 연상(年上) 중에서 건축 방면에 경험이나 식견이 높은 분을 모셔서 인생, 환경, 풍토 등에 관하여 살피고 검.. 2022. 5. 18.
철물 - 한옥의 연결재료 1. 금속재 (hardware)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금속재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고래로 철재가 가장 많이 쓰였고 동(銅), 놋쇠(黃銅, brass), 백동(白銅) 등이 있으나 이들은 비교적 고급 금속이어서 가구 또는 장식용으로 쓰였을 뿐이다. 청동(靑銅, bronze)은 원래 구리와 주석의 합금을 가리키던 것이 현재는 인(燐) 청동, 규소(珪素) 청동, 알루미늄청동 등의 총칭이 되었다. 주석(朱錫)은 놋쇠 또는 금속원소(tin)의 하나이다. 철재는 강도가 크고 풍부하게 생산되고 값도 싼 편이어서 목공사 용재로서는 가장 많이 쓰였다. 철에는 여러 종류와 품질이 구분되지만 전날에는 무쇠(鐵)와 시우쇠(正鐵)가 쓰였고 강철(鋼鐵)은 근래에 와서 흔히 쓰이게 된 것이다. 함석(函石)도 1800년대 후반에 서구에.. 2022.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