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판벽 - 나무자재로 마감하는 벽 1. 판벽 판벽은 벽면에 널을 붙여 막은 것으로 외엮기 흙벽에 비하여 빗물(雨水)에 붕괴되지 아니하고 간단 신속히 꾸릴 수가 있고 미려하지만 화재의 연소, 부식 등의 결함이 있다. 판벽은 널을 세로대는 법과 가로대는 법이 있고 또 바깥벽이나 안벽에 쓰일 때도 있다. 널을 경사각으로 빗대는 방법도 있으나 창호 또는 특수의장이 아니면 쓰이지 아니한다. 널은 널판지, 판자(板子), 간판(間板), 청판(廳板) 등의 호칭 외에 널판(厚板), 널판대기, 대반널(大盤木), 광후판(廣厚板), 판널(厚板) 등의 비교적 두껍고 넓은 판재(板材)를 뜻하는 말도 있다. 청판은 마루널을 뜻하나 판재(板材)의 총칭으로도 쓰이며 수종으로는 송판(松板), 백자널(栢子板)이 주로 쓰였다. 널은 제재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 2022. 5. 25.
머름, 창문틀 - 기능과 멋을 내는 인방 1. 머름 머름은 창틀(창지방)과 그 밑의 하인방 사이에 짧은 동자를 세우고 널로 막아댄 부분을 말하며, 멀원(遠)자와 음(音)의 이두(吏讀)표기이다. 머름을 짠 것을 머름틀이라 하고 그 한 벌을 머름 한 틀이라 한다. 머름틀로 그 자임새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겹머름(重遠音) - 상하 이단 이상으로 꾸민 머름. 이겹머름, 삼겹머름 등. 2. 쪽머름, 딱지머름 - 전면에만 머름동자가 보이고 후면에는 그것이 없이 긴 널을 끼워 만든 머름. 3. 통머름, 통판머름(通板遠音) - 머름동자를 쓰지 않고 긴 널을 끼운 머름. 4. 토머름(土遠音) - 상하에 머름대와 머름중방을 기우고 그 사이를 흙으로 바른 것 머름 각부의 명칭 1. 어미동자, 어의동자 - 머름에 있어서 기둥 옆.. 2022. 5. 25.
벽구성재 - 목재로 구성하는 벽체 1. 인방 인방은 기둥과 기둥 또는 벽선(壁楦)에 가로질러 벽체의 뼈대 또는 문틀이 되는 가로재로서 상인방, 중인방 및 하인방의 총칭이고 액방(額枋)이라고도 한다. 상중하 인방을 각기 상방(上枋), 중방(中枋), 또는 하방(下枋)이라 하고 인방이나 액방은 상인방을 뜻하기도 한다. 창문이 달리는 인방을 문중방(門中枋), 창문 없이 온벽이 되는 곳에 있는 것을 벽중방(壁中枋)이라 한다. 중방은 중인방을 뜻하지만 인방을 뜻하는 것으로도 쓰일 대가 있다. 문 밑에 있는 인방을 문지방(門地枋), 지방(地枋), 문 위에 건너지른 인방을 문인방(門引枋) 또는 문미(門楣)라고 한다. 창 밑에 댄 인방을 창지방(窓地枋) 또는 창밑인방(窓下引枋)이라 하고 창 위에 건너지른 것을 창웃인방(窓上引枋)이라고 한다. 기둥과 인방.. 2022. 5. 24.
벽체 -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구조 1. 벽체 건물 또는 주위에 수직으로 둘러막은 실체를 벽체(壁體)라 하지만 대개 그 구조부를 뜻하며, 벽(壁), 바람벽, 담벽은 같은 뜻이다. 벽체를 이루는 주요 재료, 구조, 공법상으로 목조(木造), 조적조(組積組), 철 골조, 철근콘크리트조 등을 들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목조 벽체만을 기술한다. 목조 벽체는 심벽(心壁), 평벽(平壁), 목골 토벽(木骨土壁), 귀틀 벽(귀틀집)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러나 평벽방식은 서구식 건축에서 유래된 것이고 목골조(木骨造) 등은 오래전부터 쓰인 것이다. 현재도 토담집의 벽은 토담으로 되었지만 때로는 기둥을 세우고 벽만 토담으로 막는 예가 있다. 목조건물은 화재 연소의 위험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벽 바깥 면에 돌을 진흙으로 쌓았다. 이것을 방화벽(火防壁) 또.. 2022.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