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조주택과 한옥

머름, 창문틀 - 기능과 멋을 내는 인방

by 나무목수 2022. 5. 25.
반응형

1. 머름

  머름은 창틀(창지방)과 그 밑의 하인방 사이에 짧은 동자를 세우고 널로 막아댄 부분을 말하며, 멀원(遠)자와 음(音)의 이두(吏讀)표기이다. 머름을 짠 것을 머름틀이라 하고 그 한 벌을 머름 한 틀이라 한다. 머름틀로 그 자임새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겹머름(重遠音) - 상하 이단 이상으로 꾸민 머름. 이겹머름, 삼겹머름 등.

  2. 쪽머름, 딱지머름 - 전면에만 머름동자가 보이고 후면에는 그것이 없이 긴 널을 끼워 만든 머름.

  3. 통머름, 통판머름(通板遠音) - 머름동자를 쓰지 않고 긴 널을 끼운 머름.

  4. 토머름(土遠音) - 상하에 머름대와 머름중방을 기우고 그 사이를 흙으로 바른 것

  머름 각부의 명칭

  1. 어미동자, 어의동자 - 머름에 있어서 기둥 옆에 세운 넓은 동자주.

  2. 머름동자(遠音童子) - 머름대와 머름중방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세운 짧은 재. 솟을동자, 통머름동자, 쪽머름동자(딱지머름동자) 등이 있음.

  3. 머름착고(遠音著高) - 머름중방과 머름대 사이에 끼운 널. 머름청판(遠音廳板), 머름궁창, 머름간판(遠音間板) 등의 별칭이 있음. 청판은 원래 마누널이던 것이 널의 총칭으로 된 듯 함.

  4. 머름소란(遠音小蘭) - 머름에 널을 끼우는 널흠을 파지 아니하고 그냥 잘라대고 주위에 둘러댄 가는 나무. 솔대(松竹).

  5. 머름대(遠音竹) - 머름틀에서 밑에 가로낀 하인방.

  6. 머름중방(遠音中枋) - 머름틀에서 위에 가로낀 인방.

  머름틀의 각 부재에는 모접기를 하고, 머름착고널을 끼울 홈을 판다. 또 머름중방, 어미동자 및 동자에는 면에 쌍사를 친다. 머름동자의 상부에는 ㅅ자형의 연귀를 내고 상하 장부맞춤으로 한다. ㅅ자형의 연귀로 맞추어지는 것을 제비 추리 맞춤이라 한다. 

  어미동자는 면에 쌍사를 치고 모를 접으며 위는 반솟음(반제비추리)을 내어 머름중방에 물리게 하고 옆은 널 흠을 판다. 널은 평판으로 할 때도 있으나 때로는 도드라진 안상을 새겨 내기도 한다. 또 널 흠을 파지 아니하는 머름대, 머름중방, 동자에는 소란을 안팎에 덧대어 널을 고정한다.

  머름틀은 머름중방과 머름대에 어미동자와 머름동자를 짜며 널을 끼워서 머름틀자기를 완성 한다. 머름틀은 한 벌로 짜서 좌우 기둥에 통 끼우고 되맞춤하거나, 한쪽 쌍갈 맞춤, 딴쪽통 넣고 되맞춤하고 산지를 꽂는다. 이때 기둥에는 어미동자도 함께 끼이게 된다.

 

해미읍성

 

2. 창문틀

  창문은 벽면을 형성하는 한 요소로서 그 기능이 주목적이지만 모양, 크기, 구조, 배열 등은 벽면의 변화와 미관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창호는 벽면의 장식적 시설보다도 더 중요한 장식적 요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화려한 꽃살 등을 쓴 창문은 벽면 전체의 미를 좌우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근세에 서구식 건축의 창호가 도입된 것은 재래의 창문의 구조 공법과 전혀 다른 형식, 의장,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창문틀을 따로 짜서 벽면에 끼우는 것이고, 유리창문(오리 내리창 등), 양판문(洋板門) 등은 이색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리 내리창에 유사한 것은 내리 닫이(벼락닫이)가 있고 양판문의 이전에는 당판문(唐板門)이라 하여 중국식 판문이 쓰였다. 여기서 양판문이란 서구식이란 뜻으로 해석하고 싶다.

  창호는 여닫이, 미닫이(미서기), 들창문 등과 끼워대는 빈지문, 판쪽문 등은 모두 인방재에 홈이나 턱을 파서 창문을 달거나 끼우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창문틀은 인방과 벽선(壁楦)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덧창문틀(二重窓門框)이나 따로 짜대는 서구식 창문틀에 대하여 상하인방재와 벽선을 그대로 창문틀로 하는 것을 인방 창문틀이라 한다.

  인방과 벽선을 창문틀로 하는 사각형 창문틀 외에 팔모형, 원형, 마름모형도 흔히 쓰였고 목조 창문은 아니나 아라비아식 파종 아치형(ogee arch)의 창문도 있었다.

  창문틀은 창틀과 문틀의 총칭이고 창문의 종류, 개폐방식,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문틀, 장지틀

  2. 미닫이틀, 여닫이틀, 미서기틀

  3. 겹문틀(덧문틀)

  4. 창틀, 영창틀(映窓框)

  5. 겹창틀(이중창틀, 덧창틀)

  틀재는 가로재와 세로재로 구분하고 가로재를 막이틀, 세로재를 선틀이라 한다. 또 연창(連窓)의 중간에 세운 것을 중간선틀, 고창이 위에 있을 때는 중간 막이틀이라 한다. 막이틀을 줄여서 웃틀, 중간틀, 밑틀이라 할 때도 있다. 또 창의 밑틀을 창대(窓臺)라고 한다.

  창문 틀에 닿는 벽재의 모서리를 아물리고 모양을 내기 위하여 덧대는 가는 나무를 창문선(窓門線)이라 하지만 창선(窓楦)이나 문선(門楦)과 혼돈되기 때문에 창문틀선이라 한다. 또 문선(門楦)은 문짝(門扉)을 뜻한다.

  창문틀은 1면 먹줄치고 개탕(대패의 한 자기)을오 곧게 밀어내고 그 옆면을 먹줄치고 곧게 밀되 두 면은 정확한 직각 면으로 되고 면이 서로 뒤틀리지 않게 한다. 다음은 두께와 나비를 먹줄치고 대패질하여 완전 사각형이 되게 한다.

  여닫이 문턱을 밀어내고 모를 접는다. 모의 모양은 빗모, 둥근모, 턱빗모 등으로 하고 여닫이문의 바깥쪽에만 치고 안쪽에는 치지 아니한다. 또 가로대는 중간막이틀에는 상하에 문받이턱을 따고 또 상하에 모접기를 한다.

  선틀, 중간선틀도 이와 같이 하여 가로틀과 장부맞춤으로 한다. 이때 선틀은 가로틀의 문받이턱만큼 턱을 두고 접은 모에는 연귀맞춤으로 한다.

  밀막이틀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르고 웃막이틀은 양선틀까지를 맞추고 잘라 버리거나 길게 건너지르더라도 바름벽 속에 묻히도록 얇게 깎아 버리기도 한다.

  선틀은 위틀에 장부맞춤 또는 가름장연귀맞춤으로 한다. 이때 안팎을 얇게 깎을 수도 있으나 바깥쪽만 얇게 깎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문골나비는 기둥안 목치수의 1/2보다 약간 작은 것이 좋다. 열어젖힌 문이 기둥 안에 바람에 휘날리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서구식 단독으로 짜인 창문틀은 상하막이를 약간 길게 내어 좌우 기둥 또는 셋기둥에 끼우고 중간 또는 상하 인방재에 끼움목 또는 쐐기 쳐서 끼우고 못 또는 꺾쇠로 고정한다. 이것은 인방과 기둥이 분리되어 하중을 전혀 받지 않게 하여 문틀의 변형을 막는 데 큰 효과가 있다.

  한국 건축에서 단독 창문틀을 설치할 때는 인방 위에 설치하거나 좌우에 중깃을 세우고 문틀을 고정하며 중간에는 상하 중깃으로 받친다. 이것이 약할 때는 벽 두께보다 얇은 것을 인방재처럼 상하에 건너지르거나 좌우에 굵은 중깃을 쓴다.

  인방재와 같은 모양으로 된 창문틀은 기둥에 가름장되맞춤으로 하고 산지를 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선틀의 맞춤과 설치방법은 다음에 기술하는 벽선에 따른다.

반응형

댓글